본문 바로가기
FREE

주휴수당 조건 확인 - 근무시간, 결근, 만근, 단기, 공휴일

by 다나와쿠쿠티비 2025. 5. 4.
반응형

주휴수당 조건 확인 - 근무시간, 결근, 만근, 단기, 공휴일

주휴수당은 근로기준법상 일정 요건을 충족한 근로자에게 유급으로 지급되는 휴일의 임금을 의미합니다. 각 조건별로 상세히 정리해드릴게요.

✅ 주휴수당 지급 조건

  • 1주에 소정근로시간(약속된 근무시간) 15시간 이상 근무할 것
  • 해당 주에 "만근" (결근 없이 출근)했을 것

👉 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해야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반응형

✅ 주휴수당 조건 확인 - 근무시간 기준

  • 주휴수당은 소정근로시간 15시간 이상 근로자만 받을 수 있어요.
    • 예: 주 14시간 근무 → 지급 대상 아님
    • 예: 주 15시간 근무 → 지급 대상
  • 주 1회 유급휴일에 대해 하루치 임금을 지급합니다.

✅ 주휴수당 조건 확인 - 결근 시

  • 해당 주에 결근이 있으면 주휴수당 지급 요건 불충족 → 지급받지 못함.
  • 지각, 조퇴는 원칙적으로 결근으로 보지 않지만, 사업장 규칙에 따라 다를 수 있어요.

✅ 주휴수당 조건 확인 - 만근 여부

  • 만근 = 약속된 모든 날 출근 (법적으로 "소정근로일 전부 근무")
  • 연차휴가, 병가 등의 사유로 인한 결근은 만근으로 인정될 수 있는 경우가 있으나, 무단결근은 불인정.

✅ 주휴수당 조건 확인 - 단기근로자 (1~2주 일한 알바 등)

  • 단기 근로자라도 주 15시간 이상 근로 + 해당 주 만근하면 주휴수당 받을 수 있어요.
    • 단, 근로계약기간이 1주 미만이면 주휴수당 지급 의무 없음.

✅ 주휴수당 조건 확인 - 공휴일

  • 공휴일과 주휴일은 별개입니다.
  • 법정공휴일이 유급휴일인지 여부는 사업장 규칙에 따름.
  • 주휴수당은 공휴일과 관계없이 지급 요건을 충족하면 별도로 발생.

예를 들어

  • 월~토 6일 근무, 일요일 휴무 → 일요일이 주휴일
  • 수요일이 공휴일이어도 주휴수당 지급 요건 충족 시 일요일 주휴수당 지급됨

📝 주휴수당 조건 확인 요약

항목 조건
근무시간 주 15시간 이상
결근 여부 결근 없을 것 (만근)
단기근로자 1주 이상 근로 + 주 15시간 + 만근
공휴일 주휴수당과 별개 (공휴일 유급 여부는 사업장 규칙 따름)
반응형

댓글